본문 바로가기
기술공유

Kakao 자동응답 API를 사용하여 챗봇 개발하기

by 찰스(charles) 2023. 6. 29.

Mar 23, 2017 아카이브 내용

 

지난 번에 페이스북 메신저 플랫폼을 사용하여 챗봇을 만들고 페이스북 광고까지 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한 번 정리했었는데, 이번에는 카카오 플랫폼을 이용하여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카카오 플랫폼에서는 옐로아이디 발급을 우선적으로 해야 합니다. (https://yellowid.kakao.com)

물론 심사에서 거절(reject)당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거절 사유를 확인하여 재등록 하면 됩니다.

그 다음으로 “자동응답-자동응답API” 메뉴에서 앱을 생성합니다. API 사용에 관련해서는 Github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앱URL 부분에 실제로 동작할 메시징 서버URL(https)을 넣게 되는데 요즘에는 AWS(EC2 or Lambda)나 Heroku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 좀 더 빨리 프로토타이핑이 가능해져서 좋은 것 같습니다.

페이스북 메신저와 차이점은 같은 실시간 웹훅(Webhook)기능으로 메시징 이벤트 시 앱URL로 보내주는건 같지만 페이스북은 특정 이벤트로 핸들링 하지만 카카오는 특정 라우팅된 사용자 서버 URL로 보내주는 것이 다릅니다. 그 동안 최근에 이벤트 기반 개발(EDD, Event Driven Development)을 많이 한 저로써는 페이스북 방식이 더 익숙하지만 결국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API Documentation이 좀 아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에서는 메신저에서 1:1상담원 대화와 자동응답기능을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스윗칭 할 수 있도록 입력창 옆에 아이콘을 배치해놨습니다. 상담원과의 대화모드에서는 자동응답API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옐로아이디 홈에서 “일대일대화” 메뉴에서 히스토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템플릿으로는 텍스트, 버튼, 이미지, 링크버튼 등을 지원합니다.

다음 번에는 최근 알파고 이후로 핫이슈인 인공지능 AI 관련 자연어처리 학습에 대한 내용을 한 번 다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